본문 바로가기
수필 이야기

내 인생을 지배한 열정은 무엇인가 : 김수영 <김수영 전집 2 산문>

by Keaton Kim 2020. 8. 6.

 

 

 

내 인생을 지배한 열정은 무엇인가 : 김수영 <김수영 전집 2 산문> 

 

 

 

단순하지만 매우 강렬한 세 가지 열정이 내 인생을 지배했다.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 추구, 인간의 고통에 대한 견딜 수 없는 연민이 그것이다. 이 열정들은 마치 거센 바람처럼 나를 이리저리로, 고뇌의 깊은 바다로, 절망의 벼랑으로 휘몰았다.

 

 

 

내가 사랑을 추구한 첫 번째 이유는 사랑이 주는 황홀함 때문이다. 그 황홀함은 너무도 큰 것이어서 그 환희의 몇 시간을 위해서라면 나머지 인생을 모두 바치고 싶은 순간도 있었다. 내가 사랑을 추구한 그 다음 이유는 사랑이 외로움을 덜어 주었기 때문이다. 그 끔찍한 외로움 속에서 인간의 의식은 몸서리치며 세상의 가장자리 너머 차갑고 측량할 수 없는 죽음의 심연을 들여다본다. 내가 사랑을 추구한 마지막 이유는 사랑의 합일 속에서 성자들과 시인들이 상상했던 천국의 신비스런 축소판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사랑을 추구했고, 인간의 삶에서 일어나기엔 너무 좋은 것일지도 모를 그 사랑을 나는 찾아내었다.

 

 

 

똑같은 열정으로 나는 지식을 추구했다. 나는 인간의 가슴을 이해하고 싶었다. 나는 별들이 빛나는 이유를 알고 싶었다. 그리고 나는 수수가 혼돈을 다스리는 저 피타고라스적 힘을 이해하고 싶었다. 많지는 않지만 약간의 지식을 나는 성취했다.

 

 

 

사랑과 지식은 가능한 높이높이 나를 천국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늘 연민이 나를 다시 지상으로 끌어내렸다. 고통의 절규가 메아리치며 내 가슴 속에서 울려 퍼진다. 굶주리는 아이들, 압제자에게 고문당하는 사람들, 이들에게 미운 짐이 돼 버린 무력한 노인들, 그리고 외로움과 가난과 고통에 찬 세계가 인간이라면 마땅히 누려야 할 삶을 조롱한다. 나는 세상의 악을 줄여보고자 했으나 역부족이었고, 그래서 나 또한 고통 받고 있다.

 

 

 

이것이 내 삶이었다. 나는 그것이 살아볼 만한 삶이었다고 생각하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기꺼이 그 삶을 다시 살아보고 싶다.

 

 

- 버트란트 러셀 자서전 서문

 

 

 

 

 

 

동네 책방에서 글쓰기 공부를 하고 있다. 이문재 시인이 선생님으로 오신다기에 얼른 신청했다. 매주 주제가 나오고 그 주제에 맞게 글을 써서 가지고 가면 선생님이 그 글에 대해 지도를 해주신다. 선생님의 주 역할은 매다. 칭찬은 글쓰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끼리 댓글로 남기고 선생님은 주로 야단을 치신다. 그런데 이게 꽤 재미있다. 끙끙대며 글을 쓰는 것도 선생님의 날카로운 일침도 뭔가 치유되는 느낌이다.  

 

 

 

글쓰기는 내가 하는 생각이나 행동에 의미을 불어넣는 작업이다. 내가 만드는 콘텐츠다. "글쓰기 안한다고 뭐가 문제냐, 돈이 없는 게 문제지." 라고 말하는 건 틀렸다. 글을 쓴다는 건 내면의 목소리를 듣는 일이다. 나를 귀하게 여기는 작업이다. 내 자존감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선생님은 글쓰기 습관을 들이는 방법도 강조하셨다. 메모하기. 메모하지 않는 이는 글쓰는 사람이 아니다. 글 쓰는 장소 확보하기.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되 타인이 방해하지 않는 곳이 적당하다. 그렇지, 타인의 시선이 있는 곳이 더 적합하다. 혼자 있는 집은 유혹이 너무 많다. 머리맡을 비워라. 폰을 치워라. 자기 전과 깬 후의 짧은 시간은 신이 선물한 시간이다. 자기가 쓴 글을 소리내어 읽어라. 너무나 지당한 말이다. 실천하기는 쉽지 않지만.

 

 

 

위에 인용한 글은 버트란트 러셀 자서전의 서문이다. 선생님이 다섯 단락 글쓰기의 표본이라며 수업을 하셨다. 먼저 주제가 나오고 주제를 설명하는 세 단락의 본문, 그리고 결말로 이어지는 아주 잘 짜여진, 탄탄한 글이라고 말씀하셨다. 나는 내용도 좋았다. 사랑과 지식, 그리고 연민. 그가 평생을 추구했다는 세 가지가 마음에 와 닿았다. 나는 여태 어떤 열정으로 살아왔는지 생각해보았다. 이거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다. 러셀의 글을 읽으면서 부끄러워졌다.

 

  

 

 

 

 

김수영 전집은 꼭 한번 읽어보리라 벼르고는 있었지마는, 그 이름과 책의 두께에 눌려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동네 책방에 들렀는데 책꽂이에 꽂혀 있는 그 자태가 너무도 당당하여 나도 모르게 들고 왔다. 시와 산문 두 권이었는데 시는 좀처럼 엄두가 안나서 일단 산문부터 시작했다. 책 속에는 여러 얼굴의 김수영이 있었다. 필부와 다름 없는 김수영, 고뇌하는 작가 김수영, 생계를 걱정하는 김수영, 생활력이라고는 없는 자신을 조소하는 김수영, 혼탁한 시대의 흐름에 비수를 들이대는 김수영, 자유가 억압된 현실에 온몸으로 항의하는 김수영.....

 

 

 

오늘만이라도 늦지 않으니 썩은 자들이여, 함석헌 씨의 잡지의 글이라도 한번 읽어 보고 얼굴이 뜨거워지지 않는가 시험해 보아라. 그래도 가슴속에 뭉클해지는 것이 없거든 죽어 버려라! (p.255, <아직도 안심하긴 이르다 - 4.19 1주년> 중에서)

 

 

 

알베르 까뮈의 사진을 보고 뭐 저렇게 잘생긴 작가가 있나 하고 생각했는데, 울나라에는 김수영이 있었다. 저 눈을 한번 보라. 

 

책에서 '여편네'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자신의 아내를 그렇게 표현했다. 궁금해서 좀 찾아보니 김현경이라는 분인데 이분 역시 당대 최고의 엘리트에 예술적 감수성 또한 뛰어났다고 한다. 결혼을 하고 625가 터져 김수영의 행방이 묘연해졌고, 포로 생활을 한 후 풀려나왔는데 김현경은 다른 이와 살림을 차린 상태였다. 김현경은 찾아온 김수영을 거부했다고. 그 후 김현경은 다시 김수영에게 돌아왔고, 둘이 합쳐졌지만 이미 예전의 그 부부 관계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한다. 김수영은 김현경을 사랑하면서 분노했다고. 김수영의 불의의 사고로 일찍 죽고나서 김수영의 글을 세상에 알리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도 김현경이라고 한다. 인생의 아이러니다. 

 

김수영을 수식하는 여러가지 말이 있다. 그 중에서도 이 문장이 가장 마음에 든다. '알지 못하는 것은 분명하게 모른다고 말을 하는 사람.'

 

김용택 시인은 <지식인의 서재>에서 이 책을 추천하며 시 월평 글이 지금도 아주 생생하게 살아있다고 썼다. 세월이 가도 죽지 않는 사랑을 얻었다고 부러워했다. 시 월평 부분은 솔직히 나에겐 좀 어려웠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많을 뿐더러 그래서 재미도 별로였다. 아직은 내공이 많이 부족하다는 증거다.

  

 

 

러셀의 삶의 주제가 사랑, 지식, 연민이었다면 김수영은 지식인의 고뇌와 시대에 대한 항거가 아닐까.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자신에 대해 비웃기도 하고 조롱하기도 하지만 그의 정신은 한없이 맑고 투명하다. 그 정신에서 나오는 시대에 대한 비판은 날카로우면서도 묵직하다. 나는 김수영을 읽으면서 웃고, 울고, 때로는 정신이 번쩍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