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 시간을 천천히 흐르게 하는 방법 : 다니구치 지로 <산책>
- 뭐가 좀 잡히나요?
- 글쎄, 뭐가 잡힐까. 난, 그저 이 자리가 좋아서 나와 있어요.
- ....
- 날이 좋으면 여기 앉아서 낚시꾼 흉내만 내고 있죠. 이왕이면 아무것도 안 잡히는게 좋아요. 아무것도 걸리지 않는 편이 나아요. 이만하면 됐잖소. 느긋하게 쉬면 그걸로 됐어요.
- 느긋하다.... 느긋하다.... 하아
- 가끔 떠나고 싶을 때가 있어
- 나한테서?
- 아니, 아니. 매일 아침 눈을 뜨기가 괴로울 때가 있다는 거야. 현실을 떠나서 영원히 꿈속에 있기를 간절히 바라는 거지.
- 아직 소녀 같은 구석이 있네?
- 그런가?
저는 인간이나 동물이 원래 조용한 생명체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큰 소리를 지르거나 야단스럽게 우는 사람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없듯이
인간은 은밀하게 살아감으로써 자신을 지켜왔다고,
저는 믿습니다.
여러가지 걷기 중에서도 산책은 무엇보다도 자유로워야 합니다. 목적도 없고 시간에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도 역시 산책의 중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죠. 걸음의 보폭이나 걷는 속도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음에 여유가 없으면 산책을 제대로 즐길 수 없습니다. 때로 걸음을 멈추고 주변을 둘러보는 여유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무 목적 없이 산책하러 나서면, 어찌된 영문인지 그 순간부터 시간이 천천히 흐르기 시작합니다. 저절로 마음이 풍요로워지고, 잊고 있었던 소중한 것들을 발견하기도 하죠. 흐르는 구름을 보면 편안한 느낌이 들고, 길가의 잡초나 돌맹이를 보면 또 다른 감정이 솟아나기도 합니다. 산책은 어쩌면 작은 여행을 떠나는 기분을 맛볼 기회라는 생각도 듭니다. (작가 후기 중에서)
이 만화에 나오는 대화를 다 모아도 한두 바닥이 채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스토리도 단순합니다. 갈등? 그딴 거 전혀 없습니다. 그저 주인공이 동네를 어슬렁 거닙니다. 만화는 그가 다니는 길과 집과 산과 바다와 사람들을 보여줍니다. 그게 다입니다. 책을 넘기는 게 마치 무성 영화의 장면이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근데, 주인공은 주로 혼자 산책을 다닙니다. 가끔 그의 개와 함께 나가기도 합니다. 가족이 있는데도 말이죠. 혼자 산책해도 즐거워 보입니다. 주인공의 눈에 비친 주변 풍광과 이웃들이 모두 반짝입니다. 숨이 죽어있던 식물이 내리는 비에 활기를 되찾듯 주위의 사물은 주인공의 시선이 닿으면 활기를 찾습니다. 저도 즐겨 걷는 편이지만 혼자 걷는 건 별론데, 주인공은 다르네요. 별 재미없는 중년인줄 알았던 주인공의 내공이 여기서 드러납니다.
아~ 산책하고 싶어라. 당장이라도 신발 끈을 묶고 싶어집니다.
그리고, 다니구치 지로 (1947~2017)
얼마전 일본의 먹방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 - 한국편'이 방영되어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습니다. 주인공은 전주의 한 가정식 백반집에서 청국장과 비빔밥을, 그리고 용산에 있는 숯불갈비집에서 돼지갈비를 먹었다고 합니다. 저도 가끔 잼나게 보는 드라마라 흥미가 갔습니다. 어떤 집이길래 고로상이 찾아갔을까 하고 말이죠. 고로상의 취향에 맞게 역시 허름하나 서민들이 즐겨 가는 식당이었습니다. 그 집들, 대박 났겠죠?
그 드라마의 원작이 다니구치 지로의 <고독한 미식가>입니다. 선생의 만화는 <아버지>로 처음 접했고 <열네 살>의 아련한 감동을 계기로 제대로 보기 시작했습니다. <개를 기르다>, <신들의 봉우리>, <K 케이>, <창공> 등의 담담하고도 사실적인 화풍과 아련한 감성에 빠졌습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주인공이 중년의 남자입니다. 읽을 때마다 주인공과 묘한 동질감을 느낍니다. 그게 어쩌면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시절에 대한 향수가 묻어나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개를 기르는 사람이 보면 참 좋을 만화 <개를 기르다>. 제목이 '개를 기르다'지만 실제 내용은 '개가 죽다'이다. 개를 기르다보면 나이가 들어 죽는게 당연한 이치지만 죽음에 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이 만화를 통해, 열심히 살았던 충직한 개가 가족을 떠나는 여운을 만날 수 있다.
사진 출처 : http://blog.naver.com/enterani/130103617870
그런 선생이 2017년 2월에 작고했다고 나옵니다. 이제야 알았네요. 선생의 작품은 아직 한참이나 더 보고 싶은데. 더 이상 다니구치 지로의 새 작품을 볼 수 없다니 참 안타깝습니다. 그의 작품 리스트를 봤습니다. 일본 메이지 시대의 문화와 사상을 그린 <도련님의 시대>, 이정모 관장의 책에서 '맑은 향기를 머금은 따스한 정종 한 잔처럼 인생에 찾아든 사랑 이야기'라고 극찬한 <선생님의 가방>을 비롯하여 아직 읽지 않은 그의 작품이 좀 있네요. 아껴두고 읽어야겠습니다.
늦었지만 부디 편안히 영면하시길.....
사진 출처 : http://comixpark.pe.kr/220933231890
다니구치 지로의 사망을 손석희 아나운서가 잠깐 언급을 했습니다. 뉴스룸 앵커브리핑 2017년 2월 16일자에서 "고독한 혼밥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현재의 세태를 묘사했습니다. 읽을 만한 기사라 생각되어 옮겨봅니다.
'만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리문 하나 열기가, 책 장 하나 넘기기가 두려운 만화 : 권가야 <남한산성> (2) | 2018.10.11 |
---|---|
아직도 끝나지 않은 광주 이야기 : 김성재 변기현 <망월> (2) | 2018.08.11 |
초등학교 6학년이 혁명적이라고 평가하는 만화 : 시니, 혀노 <죽음에 관하여> (4) | 2018.03.30 |
마음의 허기를 채우는 집밥 한 끼 : 이가라시 다이스케 <리틀 포레스트> (0) | 2018.03.10 |
제 자신도 어쩌지 못해서 뚫고 나오는 송곳 같은 인간들 : 최규석 <송곳> (0) | 2018.02.15 |